-
주식용어 (4) 주당배당금, 시가배당률, 배당성향 ? 간단이해하기시사/경제 2021. 1. 27. 16:52반응형
주당배당금, 시가배당률, 배당성향 간단 이해하기 ⓒ자유로운낙타
주식 용어(4) 주당 배당금, 시가배당률, 배당성향 간단 이해하기
본격적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이 글을 끝으로 기업의 주식을 투자하기에 앞서 필수적으로 파악해야 하는 정보인 경영성과, 재무구조, 배당성향을 알 수 있는 객관적인 수치를 알려주는 용어에 대해 알아보았다. 모든 주식 전문가들은 이야기한다. "100% 예측할 수 있는 주식은 없다."라고. 하지만, 정확하게 공개된 수치와 그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 기업 내부의 사업 정보 등을 최대한 분석을 하고 투자를 진행한다면 투자 실패율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런 기초적인 정보들을 공부해야 한다는 점을 알아뒀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주당 배당금, 시가배당률, 배당성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주당배당금
주당 배당금이란, 해당 연도에 그 기업이 주주들에게 1주당 얼마만큼의 배당금(단위:원)을 지급하였는지를 보여준다. 기업은 보통 연말에 주주들에게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이익에 대한 보상 명목으로 "배당금"을 지급한다.
S기업의 주당배당금/시가배당률/배당성향 ⓒ네이버 예를 들어, 위 와같이 S기업의 2017년도의 주당 배당금이 850원이라면, 주주들은 2017년도 말에 한 주당 850원의 배당금을 받은 것이다. 만약 내가 S기업의 주식을 100주를 보유하고 있다면, 2017년도 배당일에 85,000원 상당의 배당금을 부여받게 되는 것이다.
주식을 통해서는, 주가의 오름에 따른 차익을 통해 이익을 내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들은 배당금을 통해 이익을 실현하기도 한다.
2. 시가배당률
시가배당률이란 배당금이 지급되는 날의 주가에 대비하여 몇 퍼센트의 배당금이 지급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수치이다. 하지만, 시가배당률은 말했다시피, 배당금이 지급되는 날의 주가에 대비하여 계산되기 때문에, 연말에 주가의 하락과 상승에 따라 연도마다 다른 변동성을 가지고 있다.
H기업의 주당배당금, 시가배당률, 배당성향 ⓒ네이버 예를 들어, H기업의 주당 배당금은 2017, 2018, 2019년도 모두 4,000원으로 동일하였지만, 주가 변동으로 인해 시가배당률은 각각다 다름을 알 수 있다.
3. 배당성향
배당성향은 기업이 해당 연도의 당기순이익 중 얼마큼을 배당금으로 지급하였는지를 보여주는 수치로 %로 나타낸다. 이는 기업이 주주들에게 벌인 만큼 배당금을 잘 주는지 적게 주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무조건적으로 배당성향이 높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벌인 수익으로 적극적인 투자를 한다면 그 해의 배당성향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 정보를 파악하여 합리적인 주식투자를 지향합시다 ⓒpixabay 결론
지금까지 기업의 경영성과, 재무구조, 배당성향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여러 지표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실, 주식투자를 오랫동안 해보면 알겠지만, 이러한 수치들을 통해 주식을 투자하는 것은 그저 보조적인 역할을 할 뿐, 100% 수익률을 보장해주는 수치로 활용하지는 않는다. 다만, 기본적으로 안정적인 투자를 목표로 한다면, 그 기업이 튼튼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오랫동안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지를 정확한 수치를 가지고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해야 한다. 글쓴이는 개인적으로 기업분석을 할 경우에 이러한 수치들을 우선적으로 보지 않는다. 왜냐하면, 주식의 투자는 그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내가 투자한 주식의 주가도 함께 올라가기 때문이다. 그래서, 성장성을 가진 기업을 먼저 파악한 뒤에, 그 기업의 재무구조 및 이전의 성과들을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앞에서 언급한 영업이익률, 부채비율, 배당성향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투자를 결정한다.
<관련 글 바로가기>
주식용어 (1)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ROE ? 간단이해하기
주식용어 (1)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ROE 간단 이해하기 BY. 자유로운 낙타 첫 번째 순서로 알아볼 재무정보 용어는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ROE 이다. 이 세개의 지표는 기업의 근본적인 목적이라
freecamel.tistory.com
주식용어 (2) 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 ? 간단 이해하기
주식용어 (2) 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 ? 간단 이해하기 앞의 글에서는 기업의 이익창출 지표라 할 수 있는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ROE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은 기업의 빚에 대한 용어인
freecamel.tistory.com
주식용어 (3) EPS, PER, BPS, PBR ? 간단 이해하기
주식용어 (3) EPS/PER/BPS/PBR ? 간단 이해하기 앞의 글에서는 기업의 재무구조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인 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은 주식의 가격이 고평가되어있
freecamel.tistory.com
반응형'시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용어] 무상증자란?, 예시를 통해 이해하기(대원제약) (0) 2021.02.05 [경제용어] 애그플레이션(agflation), 농축수산물가 상승의 의미 (0) 2021.02.04 주식용어 (3) EPS, PER, BPS, PBR ? 간단 이해하기 (0) 2021.01.26 주식용어 (2) 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 ? 간단 이해하기 (0) 2021.01.25 주식용어 (1)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ROE ? 간단이해하기 (0) 2021.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