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용어 (3) EPS, PER, BPS, PBR ? 간단 이해하기시사/경제 2021. 1. 26. 15:37반응형
EPS/PER/BPS/PBR 간단 이해하기 ⓒ자유로운낙타
주식용어 (3) EPS/PER/BPS/PBR ? 간단 이해하기
앞의 글에서는 기업의 재무구조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인 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은 주식의 가격이 고평가되어있는지 저평가되어있는지 알 수 있는 EPS/PER/BPS/PBR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EPS
EPS는 Earning Per Share 의 약자로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당기순이익)을 그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주당순이익'을 말한다.쉽게말해, 기업의 한 주당 약 얼마의 순이익을 창출하였는지 알 수 있다. 이는 주주의 입장에서 내가 투자한 금액에서 얼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보통 투자자들은 EPS를 통해 그 기업의 경영실적과 주식수에 대한 이익금을 보여줌으로서 그 기업의 주가가 고평가되어있는지, 저평가되어있는지도 간접적으로 판단 가능하다.
예를들어 설명하자면,
K기업의 EPS/PER/BPS/PBR ⓒ네이버 S기업의 EPS/PER/BPS/PBR ⓒ네이버 S기업의 현재 주가는 약 86,600원이고, 2020년 추정 EPS는 4,021원이다. 이는 1주를 86,600원을 주고 투자하였는데, 기업은 해당연도에 4,021원의 수익을 냈다고 볼 수 있다.
EPS의 지표로만 보자면, 1주당 이익률은 S기업이 K기업보다 높다고 할 수 있고, 이는 경영실적면에서 S기업이 더 우월하다고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PER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한다.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수치로 계산된다.
쉽게 말해, PER이 높다는 것은 주당순이익(EPS)에 비해 주가가 높게 책정되어있다는 것을 뜻한다. 결론적으로, 낮은 PER을 가진 주식 종목은 현재의 경영성과에 비해 저평가 되어있다고 판단 할 수 있다.
3. BPS
BPS는 Book-value Per Share 의 약자로 "주당 순자산가치"라 뜻한다. BPS는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수치로 계산된다.
BPS는 쉽게말해, 기업이 만약 기업 활동을 멈추고, 주주들에게 남은 자산을 배분을 하게 될때, 한 주당 얼만큼을 배분가능한지를 보여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현재 주가와 대비하여 BPS가 높은 기업은 재무건정성이 좋다고 말 할 수 있다.
4. PBR
PBR은 Price Book-value Ratio 의 약자로 주가순자산비율이라 불린다. PBR의 계산은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로 나눈 비율로 한다.
즉, PBR은 주가가 주당순자산가치(BPS)에 대비, 몇 배로 거래가 되고 있는 지를 알 수있다.
PBR이 높다면, 그 기업의 주가는 가지고 있는 자산에 대비해서 고평가 되어있음을 알 수있다.
PBR이라는 지표는 기업의 주가가 고평가 되어있는지, 저평가되어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로서 활용되기도 한다.
EPS/PER/BPS/PBR 간단이해하기 ⓒpixabay 결론
이제는 EPS/PER/BPS/PBR 이라는 개념을 통해, 그 기업의 재무구조가 안정적인지, 주가가 고평가되어있는지 저평가 되어있는지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하지만,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는 수치가 아닌 그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한 기업의 PER(주가수익비율)이 2.4로 다른 기업들에 비해 낮게 평가되어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크게 보이지 않는 사업을 영위중이라면, 저평가되었다고 쉽게 판단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주식의 종목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재무구조 뿐만아니라, 그 기업이 어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지, 투자는 적극적으로 미래 지향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향후 10년 후에 어떤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 등등 많은 요소들을 파악한 뒤에 이루어져야 한다.
<관련 글 바로가기 >
1편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ROE? 간단이해하기
주식용어 (1)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ROE ? 간단이해하기
주식용어 (1)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ROE 간단 이해하기 BY. 자유로운 낙타 첫 번째 순서로 알아볼 재무정보 용어는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ROE 이다. 이 세개의 지표는 기업의 근본적인 목적이라
freecamel.tistory.com
2편 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 간단이해하기
주식용어 (2) 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 ? 간단 이해하기
주식용어 (2) 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 ? 간단 이해하기 앞의 글에서는 기업의 이익창출 지표라 할 수 있는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ROE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은 기업의 빚에 대한 용어인
freecamel.tistory.com
반응형'시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애그플레이션(agflation), 농축수산물가 상승의 의미 (0) 2021.02.04 주식용어 (4) 주당배당금, 시가배당률, 배당성향 ? 간단이해하기 (0) 2021.01.27 주식용어 (2) 부채비율, 당좌비율, 유보율 ? 간단 이해하기 (0) 2021.01.25 주식용어 (1) 영업이익률, 순이익률, ROE ? 간단이해하기 (0) 2021.01.22 주식용어 (0) 재무정보 용어 간단 이해하기 - 프롤로그 (0) 2021.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