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저원가성 예금이란?, 보통예금이 은행에 도움이 되는 이유? (feat. 카카오뱅크 실적 기준) [자낙의 금융단어공부 시리즈]시사/경제 2021. 8. 23. 11:17
* 본 금융단어공부 시리즈는 금융관련 주식을 투자하고 있으나, 관련 인사이트를 습득하기에는 부족한 금융지식을 채우기 위해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1. 저원가성 예금이란? 저원가성 예금이란, 은행이 고객들에게 판매하는 상품 중 하나로, 연 금리가 0.1%에 불과한 수시입출식예금(MMDA)을 뜻해요. 쉽게 말하자면, 우리가 급여나 용돈을 받는 계좌를 의미하는데요. 이런 계좌의 경우 수시로 원할때 돈을 빼고 넣고 쓸 수가 있어 "자유로운 입출금식 예금"이라고 해요. 은행의 입장에서는 저원가성 예금을 핵심성 예금이라고 하여, 주요 은행의 수입이라고 여기는데요. 하지만, 은행의 입장에서 봐도 적금과 같이 묶여있는 돈이 아닌, 수시로 들어왔다 나가는 돈인데도 불구하고, 은행에서 핵심적인 수입이라 여기는 이유는 무엇일..
-
랜섬웨어란?, 데이터를 인질로 돈을 요구하다니! (랜섬웨어 사례/예방법)시사/사회 2021. 6. 16. 16:39
1. 랜섬웨어란? 정보화시대인 요즘 모든 업무를 디지털로 처리하는 세상인데요. 개인을 비롯하여 국가, 기관, 기업 등 모든 개인과 단체들은 온라인으로 데이터를 만들고 생산하며, 업무를 처리하죠.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춰 등장한 사이버범죄가 있는데요. 바로 컴퓨터와 같은 네트워크에 바이러스를 심어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Ransomware)"입니다. 정확하게 랜섬웨어는 컴퓨터 및 데이터 사용자 몰래 중요 문서나 파일을 암호화하여 그 암호를 푸는 댓가로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로 금전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해요. 랜섬웨어의 단어는 "납치된 사람의 몸값"을 뜻하는 Ransom 과 Software의 합성어에요. 특히나, 랜섬웨어의 경우 가상화폐와 같은 전자화폐로 몸값을 요구하여 추적조차도 어려우며, 사이..
-
일대일로, 중국의 야망가득한 외교정책! 그 내막은?시사/국제 2021. 6. 14. 16:37
1. 일대일로란? 일대일로, 한자로 一帶一路 로 표현하며, 영어로는 One Belt and One Road 라 해요. 간략하게 말해 세계를 육지길과 바닷길을 통해 하나로 잇는다는 의미인데요. "현대판 실크로드"라고도 말해요. 일대일로라는 단어는 중국의 시진핑 주석의 외교정책의 일환으로 등장했는데요. 중국과 전세계를 육지와 바다의 교통을 이어 원활한 교역 인프라를 만들겠다는 시진핑 주석의 야심찬 목표로 시작이 되었어요. 2013년 중국의 이러한 목표가 발표되고 난 뒤, 2014년부터 2049년까지 총 35년간 진행될 큰 프로젝트인데요. 현재 100여개 국가가 이미 참여해 진행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이 중국을 시작으로,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유럽을 잇는 무역 통로를 완공하는게 목표라고 합니다...
-
ESS란?, 전기를 저장하는 기술! (feat.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시사/경제 2021. 6. 10. 15:46
1. ESS란? 최근 각종 전자기기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배터리에 대한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데요. 배터리란 아시다시피 전기를 축적하는 장치에요. 저희가 쓰는 모든 무선 전자기기에는 다 들어가 있죠! 하지만, 이러한 저용량 배터리가 아닌, 이보다 아주 아주 큰 전기를 보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바로 ESS = Energy Stroage System 이라고 해요. 즉, ESS 는 초대용량 배터리라 생각하시면 되요! 2. ESS가 필요한 이유? 그렇다면 이러한 대용량 전기를 보관할 수 있는 ESS 시스템이 왜 필요할까요? 바로 전기를 보관해뒀다가 필요할때 바로 쓸 수 있게 하기 위함이에요. 예전에는 전기를 보관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특정 시기에만 많은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 투자가 진..
-
대체육, 과연 육식이 사라지는 날이 올까? (feat. 비욘드미트)시사/사회 2021. 5. 11. 16:39
1. 대체육 이란? 대체육은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등 육고기를 대체할 수 있는 또 다른 고기를 뜻합니다. 현재 대체육의 종류로는 식물성 대체육, 배양육, 식용 곤충으로 만든 대체육이 대부분인데요. 식물성 대체육의 경우 식물에서 추출해낸 단백질로 만든 대체육으로서 대표적으로 콩고기가 식물성 대체육에 해당됩니다. 배양육의 경우 동물의 세포를 채취해 세포 배양 기술을 통해 증식한 배양세포를 가지고 만든 고기라 할 수 있으며, 직접 가축을 하지 않고도 육고기를 소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식용 곤충으로 만든 대체육은 고단백으로 알려진 곤충을 이용해 만든 고기인데요. 현재까지는 곤충은 벌레라는 소비자들의 시각으로 인해 거부감이 큰 대체육이라 할 수 있어요. 2. 대체육의 등장 이유 과거에는..
-
바이럴 마케팅이란?, 바이러스처럼 광고를 전파시킨다고?!시사/사회 2021. 4. 26. 11:10
수많은 온라인 플랫폼(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등)이 생겨나면서, 디지털 마케팅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어요. 오늘은 그중 가장 대표적이고, 널리 사용되고, 우리에게 많은 노출이 되고 있는 마케팅 기법인"바이럴마케팅(Viral Marketing)"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1. 바이럴마케팅(Viral Marketing)이란? 바이럴마케팅의 용어는 Viral (바이러스성의) + Marketing(홍보) 의 합성어로 쉽게 말해, "바이러스처럼 퍼지는 홍보효과"를 뜻해요. 바이럴마케팅은 파생된 바이러스가 연쇄적으로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와 같은 마케팅이라는 의미를 품고 있는데요.기업이 직접 전파하지 않아도, 네티즌들이나 고객이 스스로, 자발적으로 다른 지인들이나 네티즌들에게 홍보를 하게끔 만드는 것을..
-
블록딜, 주식을 한 번에 대량 매매?! 그럼 주가는? (feat. 카카오)시사/경제 2021. 4. 16. 11:01
안녕하세요. 오늘도 주식 관련 용어를 설명해주기 위한 포스팅입니다. 오늘의 주식용어는 바로 "블록딜(Block Deal)"인데요. 영어 단어를 그대로 해석을 하면 덩어리는 뜻하는 "Block"과 거래를 뜻하는 "Deal"의 단어가 합쳐 "덩어리 거래"라 할 수 있는데요. 이는 주식 시장에서 "대량의 주식을 한번에 거래함"을 의미해요. 자세한 블록딜의 의미는 아래와 같아요. 1. 블록딜의 의미 주식을 대량으로 보유한 주주가 한 번에 많은 주식을 팔기(매도하기) 위해 사전에 주식을 대량을 구매할(매수할) 매수자를 찾아 주식을 거래하는 것이에요. 그렇다면, 그냥 주식시장과 똑같이 거래를 하면 안 되냐는 생각을 하실 수도 있는데요. 만약 대량의 주식물량이 시장에 한 번에 내놓게 되면, 주식의 가격에 큰 영향을 ..
-
액면분할? 주식을 쪼갠다고? 왜? (feat. 카카오, 삼성전자, 네이버)시사/경제 2021. 4. 2. 14:29
이번에 카카오의 주식을 액면분할한다는 소식에 다들 "주식의 액면분할"이 무엇이고, 어떤 의미인지 궁금하신 분이 많으실거 같아, 오늘은 주식 액면분할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주식 액면분할의 의미 주식의 액면분할의 정확한 의미는 "주식의 액면가액을 일정한 비율로 분할함으로써 주식의 수를 증가시키는 일"을 뜻해요. 주식들은 정해진 액면가액이 있는데요. 이번 카카오 주식의 경우를 예로 들자면, 카카오 주식의 1주당 액면가액은 위의 사진과 같이 500원이에요. (그리고 우리는 500원짜리의 주식의 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여 주식 시장에서 현재 약 50만 원에 거래하고 있는 거죠.) 이번처럼 카카오의 주식을 5분의 1로 액면분할을 한다고 하면, 액면분할 이후 카카오 주식의 액면가액은 100원이 됩니다. 그렇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