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ESG 경영이란? 기업의 목적은 더이상 돈뿐만이 아니다!시사/사회 2021. 3. 23. 17:07
1. ESG경영의 필요성 기업의 목적은 무엇일까요? 바로 이윤추구, "돈"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초기 기업들은 돈을 벌기 위한 사업을 영위하였습니다. 즉, 우선순위는 항상 자본(돈)이었죠. 하지만, 코로나 사태 이후 각 나라들과 주요 기업들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과 고찰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더 이상 돈만 많이 벌어서는 지구에서 지속적으로 평생 인간들이 살 수 없을 것이다." "지구와 함께 상생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해 나온 새로운 경영철학이 바로 "ESG경영"입니다. 2. ESG경영의 뜻 그렇다면 ESG경영이란 무슨 의미일까요? "ESG"의 약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E : Environment (환경) S : Social (사회) G : Governence ..
-
스월링이란?, 와인 맛있게 마시는 법일상 속 궁금증 2021. 3. 12. 14:50
여러분들도 한 번쯤 와인을 먹고 싶은 날이 있죠. 하지만, 소주와 맥주만큼 자주 먹지 않아 어떻게 먹는 건지 어색했던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요. 오늘은 레드와인을 어떻게 하면 맛있게, 잘(?) 마실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1. 스월링이란? 가끔 와인잔의 손잡이를 잡고 빙빙 돌리는 모습을 보신 적이 있을 거예요. 처음에는 "왜 굳이 돌리지?" "와인잔이 돌리기 편한 형태라 그냥 돌리는 건가?" 와 같은 생각을 했던 거 같아요. 하지만, 이렇게 와인잔의 손잡이를 잡고, 반시계 또는 시계방향으로 돌리는 것을 스월링(Swirling)이라고 해요. 2. 스월링을 하는 이유? 스월링을 하는 이유 ⓒ유튜브 영상의 남자처럼 스월링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스월링을 알게 된다면, 레드와인잔이 왜 그렇게 둥글..
-
버추얼 휴먼이란?, 가상인물의 인기(feat. 버추얼 유튜버 루이)시사/사회 2021. 3. 11. 14:41
이전 포스팅에서 인공지능(AI) 친구 "이루다"에 관한 포스팅을 쓴 적이 있었어요. "이루다"라는 이름을 가진 AI채팅 봇의 여러 논란으로 잠정적으로 서비스를 중단한다는 내용이었죠. 이렇듯, 최근에는 실제가 아닌, 가상의 인공지능(AI)을 적용한 서비스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AI 친구 이루다, 논란 이유/서비스 중단 지난달 2020년 12월 22일, AI 친구 이루다의 정식 출시 이후 20일 만인 2021년 1월 11일, 개발사인 스캐터랩(SCATTER LAB)은 여러 논란 끝에 서비스를 잠정 중단하겠다고 공식 입장문을 발표했다. 구체적인 freecamel.tistory.com 관련해서 "버추얼 휴먼"이라는 용어로, 대놓고 진짜가 아닌 가짜의 인물이라는 것을 밝힌 뒤에 활동하는 모델과 같은 인플루언서들..
-
메타버스란? 가상현실의 일상화 (feat. 로블록스)일상 속 궁금증 2021. 3. 10. 11:55
안녕하세요. 오늘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부각되고 있는 용어인 "메타버스"에 관한 정보를 전달해드릴려고 해요. 메타버스가 무엇이고, 메타버스가 어디에 활용이되고, 관련된 게임은 무엇이 있는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메타버스란? 최근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 및 게임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관련 용어들이 많이 생겼는데요. 그중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이 구현된 메타버스가 코로나 이후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어요. 메타버스(Metaverse) = Meta(가상, 추상) + Universe(어떠한 세계) 메타버스는 가상, 추상을 뜻하는 "메타"와 특정 유형의 세계를 뜻하는 "유니버스"가 합쳐진 용어예요. 즉, 메타버스는 "가상 세계"를 뜻한다는 것! 메타버스의 정확한 뜻은 ..
-
그로스해킹이란?, 이제는 마케팅도 효율적으로!(feat. 클럽하우스)일상 속 궁금증 2021. 3. 3. 14:24
예전에는 전통적인 미디어(TV, 라디오, 신문 등)에서 한정적인 방법(광고 게시)을 통해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었어요. 하지만 현재는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많은 소셜미디어와 관련 매체들이 생겨나면서, 마케팅 기법 또한 정말 다양하게 생겨나고 있는데요. 이러한 기술 관련 기업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마케팅 기법인 "그로스해킹(Growth Hacking)"에 대해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로스 해킹이란? 해킹이라는 단어가 삽입되면서 무슨 보안관련 용어로 착각할 수 있어요. 그로스해킹이란 "창의적, 분석적 사고 및 소셜 매트릭스를 사용하는 기술 스타트업에 의해 개발된 마케팅 기술"로써 쉽게말해, 색다른 방법으로 고객들을 유치하여 기업의 성장을 이뤄내기 위한 마케팅 기술 이라 할 수 있..
-
미나리, 기생충에 이어 골든글로브 외국어영화상 수상(개봉일/줄거리)일상 속 궁금증 2021. 3. 2. 11:26
한국에서는 3월 3일(수)에 개봉을 앞둔 영화 "미나리"가 미국 할리우드 영화 시상식인 "골든글로브"에서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했어요!! (짝! 짝! 짝!) 비록, 미국 감독(정이삭 감독님, 재미교포)과 미국 제작사로 만들어진 작품이지만, 영화 배경상 언어 반 이상이 한국어라는 이유로 "외국어영화"라 규정받았어요. 이번 "미나리"의 외국어영화로의 규정으로 인해골든글로브는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집단이라는 비판을 받게 되었어요. 영화 "미나리" 정보 영화 "미나리"는 제작 때부터 큰 관심을 모았어요. "미나리"의 제작사는 "플랜 B"로 할리우드 배우 "브래드 피트"의 제작사로 유명한데요. 2020년에 미국에서 먼저 개봉한 이후로 "선댄스영화제"에서 "심사위원 대상"과 "관객상"을 수상하면서 영화"미나리"는 더..
-
주식 공시 확인하는 법, 주주라면 필수! (feat. 삼성전자 공시)시사/경제 2021. 2. 25. 16:59
주식 공시란? 주식의 공시는 상장한 주식회사가 기업의 재무상황, 사업내용, 영업실적, 경영사항 등 주주들에게 알리기 위한 제도로 악재든 호재든 공정한 주식 가격 형성을 위해 만들어졌어요. 자신이 상장기업에 투자중인 투자자라면, 그 회사의 경영상황에 대해서는 꼭 알고 있어야겠죠? 그렇다면 국내 상장기업의 공시는 어떻게 확인을 할 수 있을까요? 우리나라에서는 기업의 공시들을 한꺼번에 모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가 존재해요. 바로 DART*라고 불리는 "전자공시시스템"이에요. *DART :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며 한국증시시장에 상장한 모든 기업의 공시를 온라인으로 볼 수 있도록 해놓았어요. ▼DART전자공시시스템 사이트▼ 전자공시시..
-
엥겔지수란? 엥겔계수의 의미, 유래 쉽게 알아보기시사/사회 2021. 2. 25. 10:10
가계지출에 대한 내용에서 항상 언급되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엥겔지수", "엥겔계수"라는 용어인데요. 지수나 계수나 같은 말로 "총 가계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뜻합니다. 그렇다면, 엥겔지수의 정확한 의미와 유래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위에서 잠깐 언급한대로, 엥겔지수는 "총 가계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뜻해요. 영어로는 "Engel's Coefficient"라 합니다. 예를들어, 한 달 생활비가 총 300만원이라 했을때, 이 중에서 먹는거에 사용하는 돈이 150만원이라면, 엥겔지수는 50(%)이 됩니다. 엥겔지수의 유래는 독일의 통계학자인 에른스트 엥겔의 논문에서 파생되었는데요. 엥겔은 자신의 논문에서 "총 가계지출 중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가구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