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생산자물가지수란? 소비자물가지수와 차이는 뭘까?
    시사/경제 2023. 3. 15. 21:55
    반응형

     

    생산자물가지수 @자유로운낙타


    더보기

    목차

    0. 서론

    1. 생산자물가지수란?

    2. 생산자물가지수를 정하는 방법

    3.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 차이

    4. 결론


    0. 서론

    최근 코로나 이후 회복되지 않은 경제 여건과 전쟁상황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타격을 받고 있는데요. 특히 먹고사는 문제로 이어지는 물가에 관한 내용이 중요해졌습니다.

     

    오늘은 물가에 대한 경제 단어 중 생산자물가지수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생산자물가지수가 어떻게 정해지고, 긴밀한 관계가 있는 소비자물가지수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생산자물가지수란?

    생산자물가지수 @pixabay

    먼저 생산자물가지수란, 짧게 말해 "생산자가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부품이나 서비스들의 평균가격을 나타내는 지수"라는 뜻입니다. 영어로는 PPI로 "Producer Price Index"의 약자입니다.

     

    좀더 자세히 알아보자면, 생산자물가지수는 생산자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생산자도 똑같이 부품이나 서비스도 제공받아야 하고, 상품을 만들기 위한 재료도 구입을 해야 하잖아요?

     

    예를 들어,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의 입장에서 생산자물가지수의 측면에서 반영되는 요소들은 자동차를 만들기 위한 볼트나 너트 구입비용, 자동차 외형을 만들기 위한 판금 재료 구매 비용, 그리고 창문을 달기 위한 유리 구매 비용 등, 하나의 자동차를 만들기 위한 재료들을 구입하는 데에 들어가는 비용들이 바로 생산자물가지수에 반영되는 부분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와 같이 생산자가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품목들의 구입가격이 반영되어 숫자로 산정된 지수가 바로 생산자물가지수입니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우리가 사는 사회에 어떤 경제적 지표로써 활용될까요?

    ① 우리나라 경제 상황에 따라 생산자가 실질적으로 느끼는 부담의 수준
    ② 소비자가격과 생산원가와의 차이
    ③ 각종 경제 정책의 결정 근거

    등 다양한 부분들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지표를 활용해서 나라의 경제가 어떻게 흘러가는지 파악하고 그에 맞는 경제정책을 펼지에 대한 기준이 되는 것이죠.

     

    소비자물가지수라는 말은 한번쯤 들어보셨을 텐데, 생산자물가지수라는 말은 생소하게 들리실 수도 있는데요. 보통 물가라고 하면 소비자에게만 느껴지는 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 @네이버통합검색

    우리나라의 생산자물가지수는 한국의 국가통계포털인 KOSIS에서 확인이 가능한데요.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KOSIS 국가통계포털

    내가 본 통계표 최근 본 통계표 25개가 저장됩니다. 닫기

    kosis.kr


    2. 생산자물가지수를 정하는 방법

    그렇다면, 생산자물가지수는 어떻게 정해지는 걸까요? 먼저 우리나라의 생산자물가지수는 한국은행에서 매달 산정하고, 발표하고 있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를 산정하기 위해 반영되는 요소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생산자가 생산하기 위해 구매한 재료들의 가격
    ② 각각의 재료 품목(ex. 수산품, 광산품, 가공품, 금속제품 등)들에 대한 가중치

     

    이러한 요소들을 반영하여 각 코드별로 생산자물가지수를 낸 다음, 최종적으로 평균을 구한 값이 바로 우리나라의 생산자물가지수가 됩니다. 아래의 자료를 보시면, 각 품목마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산정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 @국가통계포털 KOSIS


    3.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 차이

    생산자물가지수 @pixabay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는 아주 긴밀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생산자가 물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할 때 드는 비용이 높을수록(생산원가 ↑)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소비자물가도 함께 올라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죠.

     

    그래서 한국은행에서 생산자물가지수를 산정할 때에는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내놓은 판매가를 기준으로 정하는 소비자물가지수와는 달리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원재료나 부품을 거래할 때의 가격을 기준으로 산정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생산자물가지수한국은행에서 매달 작성하여 발표하고 있지만, 소비자물가지수통계청에서 매달 작성하여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는, 은행이 기업 간의 거래내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은데요. 


    4. 결론

    지금까지 생산자물가지수(PPI)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급격하게 오른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로 인해 힘들어진 기업과 국민들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오늘 알아본 경제지표로서 물가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생산자물가지수를 통해 나라의 경제가 제대로 순환될 수 있도록 정부의 경제정책이 제대로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