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의무보유확약이란? 주식 상장에서 의무보유확약 비율이 미치는 영향(feat. 두산로보틱스)
    시사/경제 2023. 10. 11. 11:21
    반응형

    의무보유확약이란? @자유로운낙타


    안녕하세요. 갑자기 추워진 날씨와 함께 2023년도 얼마 남지 않았네요. 꾸준하게 정보를 전해드리기 위해 자주 글을 썼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해 죄송하다는 마음과 함께 오랜만에 주식과 관련된 정보를 전하려고 찾아왔습니다.

     

    자세히 말해서는 공모주 청약과 관련해서 꼭 알아둬야 할 용어라 할 수 있는데요. 바로 “의무보유확약”입니다. 그럼 오늘은 아래의 순서로 의무보유확약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모주 청약이 무엇인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글을 먼저 참고해 주세요.

     

    공모주 청약에 관해 알아보기

     

    공모주 청약이란? 기업들이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이유 (feat. 퓨릿)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을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가지고 오랜만에 찾아왔습니다. 바로, 공모주 청약에 관한 내용인데요.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만한 주식 용어이지만,

    freecamel.tistory.com

     

    더보기

    <목차>

    1. 의무보유확약 이란?

    2. 의무보유확약 비율이 미치는 영향

    3. 의무보유확약의 비밀

    4. 두산로보틱스 의무보유확약 비율 알아보기

     


    1. 의무보유확약 이란?

     

    의무보유확약이라는 용어는 주식시장에서 쓰이는 용어입니다. 특히, 새로운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이 될 때, 증권신고서에서 발표되는 내용인데요. 간단히 말해서, “주식 상장 이후 보유 주식을 팔지 않고 약속한 기간 동안에는 보유하겠다는 확약”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기관투자자가 상장되는 B기업의 공모주를 매수한다고 했을 때, 상장일로부터 1개월 동안 주식을 판매하지 않고, 보유하겠다고 A 기관투자자와 B 기업 간의 하나의 약속을 하는 것이죠.

     

    보통 의무보유확약을 맺을 경우, 해당 주식을 보유하기로 한 기간은 짧게는 15일부터 길게는 6개월 확약까지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2. 의무보유확약 비율이 미치는 영향

     

    그렇다면, 의무보유확약의 비율이 공모주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의무보유확약 비율이 높을수록 기관투자자들이 해당 주식을 바로 매도하지 않고, 보유하겠다는 약속이라고 위에서 말씀드렸습니다. 그렇다는 것은, 기관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의 주식이 상장되었을 때 바로 팔지 않고, 보유한 기간 동안에는 주식물량이 시장에 풀리지 않게 되므로 주식 가격의 변동성이 낮아지게 됩니다

     

     

     

    즉, 의무보유확약의 비율이 높은 공모주의 경우 투자자들이 투자가치가 높은 기업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상장 당일 이러한 기관투자자의 입장으로 인해, 공모주에 참여하지 못한 투자자들이 상장당일에 매수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공모가격에 비해 높은 가격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의무보유확약의 비율이 높다고 해서 해당기업이 안정적이고, 주식의 가치가 높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확약 기간도 짧게는 15일에서 길게는 6개월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보유할만한 기업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기 때문이죠.

     

    그래서 의무보유확약의 기간이 도래한 날에는 매도되는 주식의 양이 크게 늘어나기도 합니다. 그럴 경우 주식의 가격이 낮아지기도 합니다.

     


    3. 의무보유확약의 비밀

     

    하지만, 이러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의무보유확약의 치명적인 비밀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기업과 투자자 간의 맺은 이 약속이 강제성과 법적효력이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6개월 동안 해당 주식을 보유하기로 한 조건으로 공모주 배정 물량을 많이 받은 A 기관투자자가 상장 당일 약속을 어기고, 보유 주식을 매도하게 된다 하더라도, 아무런 제재를 줄 수 없다는 겁니다.

     

    결론적으로 의무보유확약은 기업과 기관투자자 사이에서의 암묵적인 약속일뿐이며, 주식 시장에서 존재하는 상도덕과 의례로써 행해지는 비공식적 제도라 할 수 있습니다.


    4. 두산로보틱스 의무보유확약 비율 알아보기

     

    그렇다면, 최근에 상장한 두산로보틱스의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어땠을까요? 두산로보틱스의 증권신고서에 게재된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의무보유확약비율 @두산로보틱스 증권신고서

    계산해 본다면, 15일에서 6개월 동안 주식을 팔지 않고 보유하겠다고 약속한 공모주의 비율은 약 51.6%가 됩니다. (계산식 : 의무보유확약된 공모주 수량/총 공모주 수량 X 100 %)

     

    공모주의 50% 이상이 상장일에 매도할 수 없게 되고,, 나머지 49% 정도만이, 거래가 가능하게 되었있는데요.. 그렇다면, 두산로보틱스의 상장일의 주식 가격 변화는 어땠을까요?

     

    두산로보틱스의 공모주 청약 시 공모가는 26,000원이었고, 상장일 두산로보틱스의 주식 가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두산로보틱스 주식가격 변화 @네이버증권

    만약, 공모가 26,000원에 청약하여 공모주를 보유하게 되고,  상장일에 매도하게 된다면,  공모가와 맞먹는 수익을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현재까지는 공모가보다 높은 가격대로 형성이 되어있지만, 의무보유확약기간이 끝나는 시점에는 어떤 식으로 가격변화가 일어날지는 지켜봐야 할 듯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