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용어] 우선주란? 보통주와 차이, 간단 요약시사/경제 2021. 1. 12. 21:40반응형
주식 우선주란? 최근 삼성전자 주식을 사려고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종목검색시에 혼란을 주는 부분이 하나 있다. 바로, 주식 우선주이다. 네이버 증권 페이지에서 "삼성전자"를 검색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두개의 종목이 뜬다. 첫번째는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삼성전자 주식"인 삼성전자 보통주, 그리고 두번째로 오늘 우리가 알아볼 삼성전자 우선주의 "주식 우선주"라는 개념이다. 우선주의 개념은 무엇이고, 보통주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간다히 알아보자.
삼성전자 우선주
● 우선주의 개념
먼저, 우선주가 가지는 개념적 정의를 한번 알아보자.
우선주(優先株, Preference shares)
: 배당이나 기업이 해산할 경우 잔여재산의 분배 등에서 우선권을 갖는 주식위의 개념처럼 우선주를 소유할 경우, 배당금을 받거나, 회사가 해산할 경우 우선적으로 재산을 분배받기 때문에 안정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모든게 우선이라면 좋은게 아닐까?
그럼 바로 보통주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보자.
● 우선주의 보통주와의 차이점
1. 의결권
우선주와 보통주의 가장 주요 차이점은 바로 의결권이다. 간단히 말해, 보통주를 소유한 주주들은 주식총회에서 자신의 지분만큼의 의결권을 행사해 경영에 참여 가능하다. 하지만, 우선주 소유자들은 의결권이 없기때문에 기업의 경영에 관여하지 못한다.
2. 변제권
회사가 망하거나, 해산을 해야될 경우, 회사의 재산을 주주들이 나눠가지게 되는데, 이때 우선주를 가지고 있는 주주들에게 가장 먼저 재산을 배분받을 권리를 주게된다.
3. 배당금
보통주에 비해 우선주는 상대적으로 배당금이 많다.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배당금이 많은 이유는?
우선주가 생겨난 배경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주식의 우선주는 회사의 입장에서 주식 발행을 통해 자금을 유치하고 싶지만, 일반 투자자들에게 의결권을 주어 경영권에 참여시키고 싶지 않은 의도와, 일반 투자자의 입장에서 주식의 높은 배당과 주가 차익을 통한 이익 실현이 우선이기에 이러한 이해관계가 어우러져 만들어진 것이다.이처럼 우선주는 주식을 소유하여 높은 배당률과 차익을 실현하기 위한 투자자들에게 알맞은 주식이라 할 수 있다.
삼성전자 보통주와 우선주의 2017년, 2018년, 2019년 1주당 배당률은 아래와 같다.
배당시기 삼성전자 보통주 삼성전자 우선주 2017.12 1.6 % 2.0 % 2018.12 3.6 % 4.5 % 2019.12 2.5 % 3.1 % 실제로 삼성전자 우선주가 매년 보통주보다 높은 배당률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주식 발행량/거래량
기본적으로 우선주는 보통주에 비해 주식 발행량이 적고, 거래량도 적다.
이는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가격이 낮은 이유이다. 왜냐하면, 보통 투자자들은 주식의 가격 차익을 통해 이익을 내려고 하지만, 발행량이 적다보니 주식의 거래가 활발히 일어나지 않아 자기가 사거나 팔고 싶을때 제때 하지 못하여 오히려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주식 발행량과 거래량이 적다보니 작전세력에 의해 주식의 가격 변동성이 쉽게 이뤄지기때문에 현재 우선주가 인기가 없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결론
이처럼 우선주의 경우 단기적인 시세차익으로 이익을 내기 보다는 매년 높은 배당금을 지급받고, 장기 투자하여 차익을 실현하기를 원하는 장기투자자에게 알맞은 주식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작전세력들의 놀이터가 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우선주를 투자하기 위해서는 우선주가 보통주와 비교했을때 큰 차이가 나는지 안나는지(괴리율*)부터 비교하고, 안정적인 기업인지를 파악하는 등 기본적인 기업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실제로 삼성전자의 보통주와 우선주를 비교해보면 아래와 같이 큰 차이 없이 비슷한 주가 흐름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안정적인 기업의 우선주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우선주의 목적인 "의결권은 없으나, 높은 배당율과 장기적인 시세차익"을 통해 이익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괴리율 : 보통주와 우선주 간의 차이
삼성전자 보통주 ⓒ네이버증권 삼성전자 우선주 ⓒ네이버 증권 반응형'시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용어 (0) 재무정보 용어 간단 이해하기 - 프롤로그 (0) 2021.01.22 주가지수 산정방법, 주가지수는 어떻게 정해질까? (0) 2021.01.13 주식회사의 시초, 유래는 언제부터일까? (0) 2021.01.12 공매도란?, 개념 완벽 정리 (0) 2021.01.11 레버리지ETF교육, 따라만 하세요. (0) 2021.01.10